에어컨으로 친숙한 LG전자가 세계 최대의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에서 첫발을 떼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30일 보고서를 통해 "LG전자가 북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업체에 처음으로 냉각 시스템을 공급한 것으로 전해졌다"며 "미국 AI 데이터센터 첫 공급은 LG전자에 무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북미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다. 2024년 1분기를 기준으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 1만1천800곳의 45%인 5천350곳이 북미에 자리 잡고 있다.
AI 연산에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데이터센터에는 열을 식혀주면서도 전력을 최소로 쓰는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LG전자의 냉각시스템이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우선 LG전자 냉각시스템의 전력효율지수(PUE·Power Usage Efficiency)는 1.2~1.4 수준이다. 데이터센터가 얼마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전력효율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좋다. 냉난방성능계수(COP·Coefficient of Performance)는 6.5로 업계 최상위 수준이다. 냉난방성능계수가 높을수록 소비전력당 냉난방이 우수하다는 의미다.
LG전자 냉각시스템은 효율성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에도 강점을 지녔다. 고효율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히트펌프와 친환경 촉매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소비를 줄였기에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LG전자가 경쟁력을 갖춘 배경에는 연구개발(R&D)이 숨어있다. LG전자는 2011년에 LS엠트론의 공기조화사업을 인수한 이후 공조·냉각시스템 연구개발을 13년간 이어오고 있다.
김 연구원은 "AI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의 50%가 냉각용 전력에 사용되고, 데이터센터 운영자의 3분의 1 이상이 데이터센터 설치 후 전력 효율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LG전자 냉각시스템의 높은 전력 효율과 낮은 유지비용은 크게 부각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KB증권은 LG전자의 B2B(기업간거래) 냉난방공조시스템 매출이 고속 성장한다고 봤다. H&A(Home Appliance&Air Solution) 매출은 연평균 5~6% 성장하고 있지만, 냉난방공조시스템 매출은 AI 데이터센터 공급으로 연 30~40%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LG전자가 북미 빅테크 업체에 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첫 공급에 성공하며 우수한 레퍼런스를 확보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빅테크 업체로부터 무한 성장의 기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 서영태 기자
'주식초보 주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1년간 200% 급등…더 높은 성적표 받은 종목은" (1) | 2024.05.30 |
---|---|
S&P500 사상 최고치 복귀…"8월까지 상승 추세 유지" (0) | 2024.05.30 |
AI 슈퍼 사이클 확산…엔비디아 뒤이을 美 유망종목 6개는 (0) | 2024.05.30 |
케이웨더, 에이피알, 이에이트 공모 신청 결과 (0) | 2024.02.21 |
공모주 청약 퓨릿 40주 신청 2주 배정 (0) | 2023.10.11 |
댓글